선박을 건조함에 있어 기본설계단계에서 선체의 형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배수량과 주요 치수를 이용한 몇 개의 계수를 사용한다. 이들 계수는 선체의 형상, 단면, 수선 등의 비척 상태를 표시하는데 편리하다. 주요 치수는 선체의 크기만을 정의하기 때문에 배의 형상 개념만을 줄 뿐이다. 배가 폭과 깊이에 비하여 긴가 또는, 흘수가 폭에 비하여 큰가, 작은가 만을 알 뿐이지 선체 형상의 비척도에 관한 정보는 주지 못한다. 형상 계수는 각 치수 들이 시험적으로 선정된 뒤 단면과 수선의 형상을 얻는 데 있어서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
방형 계수(Block Coefficient, Cb)
주어진 수선까지의 선박의 형배 수용적(▽)과 수선의 길이(L) 형폭(B), 형 흘수(T)로 형성되는 직 입방체의 용적과의 비를 방형 계수 CB라 한다. 상선의 방형 계수를 계산하는 데 있어서 길이는 보통 LBP를 사용한다. 만재흘수 상태에서의 방형 계수의 값은 요구되는 선박의 속도에 따라 다르나 대개 화물선은 0.67~0.80, 여객선은 0.50~0.70, 어선은 0.55~0.67 정도이다.
주형 계수(Longitudinal Prismatic Coefficient, CP)
주어진 수선까지의 형배수 용적(▽)과 그 배수 용적에 대한 수선 하부의 중앙 횡단면(AM)을 가지며 길이가 수선 길이(L)인 주상체의 용적과의 비를 주형 계수 CP라 한다. 주형 계수는 세로 방향에 대한 선박의 배수 용적의 분포상태를 나타낸다. 만약 주형 계수가 다른 두 배가 같은 길이와 같은 배수 용적을 가지면 CP의 값이 작은 배는 중앙 단면적이 클 것이므로 중앙부에 배수 용적이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세로 방향에 대한 배수 용적의 분포상태는 주어진 속도에서 잉여 저항(Residual Resistance ; 물로부터 받은 총저항에서 마찰저항을 뺀 것)에 크게 영향을 주므로 주형 계수는 배의 속력과 동력을 추산하는데 주로 이용된다. 주형 계수의 사용범위는 대개 화물선에서는 0.68~0.81, 여객선에서는 0.57~0.71, 어선에서는 0.62~0.72 정도이다.

중앙 횡단면 계수(Midship Section Coeffient)
중앙 횡단면에 있어서의 수선 아래 면적(AM)과 형폭(B) 및 형 흘수(T)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의 면적과의 비를 중앙 횡단면 계수 CM이라 한다. 만재흘수선에 있어서 중앙 횡단면 계수의 사용범위는 대개 화물선은 0.96~0.99, 여객선은 0.85~0.98, 어선은 0.86~0.95 정도이다.
수선 면계수(Waterplane Coefficient)
수선 면적(AW)과 이 수선 면적을 포위하는 수선 길이(L)와 수선 너비(B)가 이루는 직사각형의 면적과의 비를 수선 면계수 CW 라 한다. 만재흘수선에 있어서 수선 면계수의 사용범위는 대개 화물선은 0.75~0.87, 여객선은 0.70~0.80, 어선은 0.77~0.84 정도이다.
수직 주형 계수(Vertical Prismatic Coefficient)
주어진 수선까지의 형배 수용적(▽)과 그 배수 용적에 대한 흘수(T)와 그 흘수에 있어서의 수선 면적(AW)과의 비를 수직 주형 계수 CVP 라 한다. 이 계수는 배수 용적의 수직분포를 나타내며, 대개 화물선에서는 0.83~0.93, 여객선에서는 0.75~0.87, 어선에서는 0.70~0.81 정도이다.
댓글